-
차례상 차리는 방법 핵심만 정리(그림)카테고리 없음 2022. 8. 22. 13:55
목차
반응형어려서부터 명절이나 제사가 돌아오면 많은 사람들이 모이기 때문에 신이 났던 거 같다. 평소에 먹지 못하는 음식도 많이 먹을 수 있고, 며칠 전부터 분주해 괜스레 기분이 좋았다. 이제는 내가 직접 많은걸 해야 하고, 분주하게 움직여야 할 나이가 되다 보니 단순히 좋은 것만은 아니다. 지켜할 부분도 있고,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부분도 많이 있다.
아직은 시부모님께서 해주시고, 나는 옆에서 음식장만만 하면 되기 때문에 크게 어려움은 없지만, 언젠가 내손으로 상을 차려야 하고, 많은 것을 해야 한다는 걸 알고 있기에 지금부터라도 조금씩 배우면 좋을 거 같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제사를 뜻한다.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에 간단하게 지내온 제사이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연시제와 추석에 지내는 절사 또 한식이 차례에 해당된다. 연시제 즉 음력설 차례 에는 조상 여러 명을 한꺼 번에 모시며 지방은 합사 한 경우에 한 종이에 나란히 쓰되, 밥 대신 떡국을 올린다.
차례의 기본 5열 상차림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 차례상차림은 지역마다 차리는 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하면 좋을 거 같다. 또 제사상 차리는 방법 역시 집안마다 다르고, 준비한 음식에 따라서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꼭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할 필요는 없다.
- 홍동백서 : 동쪽은 빨간색 과일을 서쪽은 흰색 과일을 놓는다.
- 조율이시 : 왼쪽부터 대추, 밤 그리고 감, 배를 놓는다.
- 어동육서 : 동쪽은 생선 놓고, 서쪽은 고기를 올린다.
- 동두서미 : 생선 머리는 동쪽에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둔다.
- 좌포우혜 : 왼쪽은 포를 오른쪽은 식혜를 둔다.
- 생동숙서 : 동쪽은 김치를 서쪽은 나물을 올린다.
1열 : 시접 즉 숟가락과 젓가락을 놓는 접시, 잔반 즉 술잔, 받침대)를 놓는다.
- 밥
- 추석 차례상은 송편을 올린다.
- 술잔(왼쪽), 시접(중간), 밥(오른쪽)
- 시 접거 중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올린다.
- 반서갱동 : 밥은 서쪽, 국은 동쪽이다.(산 사람과 반대로 올린다)
- 밥은 그릇에 담아 밥뚜껑을 덮어 둔다.
- 국은 쇠고기 뭇국을 흔히 사용하며 덮개를 덮어두도록 한다.
- 숭늉은 냉수 혹은 더운물에 밥알을 조금 풀어 올린다.
- 술은 맑은 술을 준비하도록 한다.
2열 : 육전과 육적 그리고 소적, 어적, 어전을 올린다.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을 향하게 두고, 고기는 서쪽에 올린다.
- 두동미서 : 생선의 머리는 동쪽에 향하며,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둔다.
- 육전과 육적, 소적, 어적, 어전을 순서대로 배열하도록 한다.
- 적 접거 중 : 구이(적)는 중앙에 둔다.
3열 : 탕
- 육(고기) 탕, 소(채소) 탕, 어(생선) 탕 순으로 탕류를 놓도록 한다.
- 촛대는 3열 좌우에 놓는다.
4열 : 포와 삼색나물, 물김치, 식혜를 둔다.
- 좌포우혜 : 좌측 끝에는 포를 두고, 우측 끝에는 식혜를 올린다.
- 생동숙서 : 익힌 나물은 서쪽이며, 생김치는 동쪽에 올린다.
- 배복 방향 :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로 향하게 올린다.
5열 : 대추, 곶감 그리고 과일 등을 올린다.
- 조율이시 : 왼쪽부터 대추 그리고 밤, 배, 곶감 순서로 올린다.
-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에 두고, 흰 과일은 서쪽에 둔다.
- 동조 서율: 대추는 동쪽이고 밤은 서쪽에 올린다.
- 면서병동 : 국수는 서쪽에 두며, 떡은 동쪽에 올린다.
- 식초와 간장은 종지에 준비해 둔다.
- 떡은 시루떡을 보통 쓰도록 한다.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
해당 지역이나 가정마다 차례상에 오르는 음식이 각각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차례상에 올리지 말아야 하는 음식이 있을 수 있다.
- 복숭아 및 키위 등 털이 있는 과일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
- 삼치, 갈치 그리고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간 이름의 생선은 올리지 않도록 한다.
- 임연수어처럼 비늘이 없고 생선은 비린내가 강해 올리지 않는다고 한다.
- 잉어나 붕어 같은 비늘이 그대로 붙어있는 생선 역시 올리지 않는다고 한다.
- 마늘 및 후추 향이 강한 양념은 사용하지 않으며, 간장 및 소금을 사용하도록 한다.
- 고춧가루와 같은 붉은색의 음식 올리지 않도록 한다.
- 붉은팥은 귀신을 쫓는다 하여 사용하지 않으며 흰 고물 팥을 사용하는 게 좋다.
짝수는 양, 홀수는 음을 의미하며 제사상에는 홀수의 개수로 올려야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