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변비의 특징
    카테고리 없음 2022. 7. 4. 13:54

    목차

      반응형

      변비의 특징

      어느 날 젊은 여성이 사무실로 상담을 청해왔다. 아이가 5살인데 변비가 심하다는 것과 아이가 식탐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다. 물론이런 현상이 이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보통 엄마들의 고민일것이다. 이 젊은 여성은 아이가 화장실 가기를 싫어해서 여간골치아픈게 아니라고 하였고, 아이에게 4~5일에 한 번씩 관장을 하여 변을 보게 한다고 하였다.

      변비의 특징



      얘기를 들어본 결과 아이가 먹는 음식에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똥이 만들어져야 직장에 쌓이게 되고 변이 가득 차면 뇌에 신호를 보내 변의를 느끼게 하여 배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요즘 아이들이 먹는 인스턴트식품은 소화 되어 소장에서 거의다 몸속으로 들어가 버리게 되고 아주 적은양만 똥이 되어 대장으로 흘러온다. 대장으로 흘러온 음식물 찌꺼기가 너무 적다보니 흘려보낼 것이 없으므로 대장은 연동운동과 분절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다. 따라서 3~4일 이상이 지나야 직장에 똥이 차게 되는 것이다.

      아이들이 즐겨먹는 음식에는 수분을 붙잡고 있을 섬유질이 거의 없다. 그러다 보니 대장에서 수분을 다 흡수해 버려 변은 딱딱해지고 배변 시 심한 고통이 동반되고 항문에 상처를 입혀 피까지 나는 경우가 다반사다. 아이는 화장실 가는 것이 무서워지고 변의가 있더라도 스스로 참는 버릇이 생겨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변비는 점점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

      대장 속에서 음식 찌꺼기가 오래 머물면 부패가 일어난다. 부패된 음식에서는 강한 독성이 생겨나고 그 독성물질이 수분과 함께 혈관 속으로 유입이 되면 간도 피곤해지고 혈액도 탁해지고 산소 부족으로 하품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몸은 항상 무겁고 피곤함이 지속된다. 또한 아이들의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몸속으로 들어오는 음식은 소장에서 영양분을 흡수하고 나면 대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대장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남은 음식물 찌꺼기가 바로 변이 되는데 변은 되도록 몸에 오래 머무르지 않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 음식을 섭취하면 24시간을 전후해서 항문을 통해 배설이 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속어 중에 '똥구멍 찢어지게 가난했던 시절'이란 말이 있다. 불과 50년 전만 하더라도 아주 가난한 시절이었다. 그 때의 주식은 싸래기 죽(쌀 도정과정에 부서진 쌀 부스러기)과 도정이 덜된 거친 현미 쌀, 섬유질이 풍부한 풀이 주식이었다. 고사리, 취나물, 보리 싹 된장국, 쑥, 시레기등 지천에 널린 풀들을 뜯어 말려서 나물이나 국을 끓여 배를 채웠던 시절이다. 그 시절엔정말 살기 위해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먹었던 시절이다.

      산과 들에서 나는 풀과 나물에는 비타민과 무기질도 풍부하지만 섬유질 또한 풍부해서 먹어도 소화는 되지 않고 전부 뭉쳐서변이 되었던 것이다. 변은 굵고 양 또한 많았다. 그래서 그 때그 배고픈 시절을 그렇게 표현을 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섬유질을 부족하게 섭취해서 각종 성인병이 발병 되고 있다. 하지만 성인병은 정확히 표현하자면 식원병(먹는 것이 원인이 되어발병하는 병)이 맞는 표현일 것이다.

      섬유질을 풍부하게 섭취하면 위는 섬유질속의 영양분을 녹여내기 위해 부지런히 움직일 것이고 그렇게 되면 위 주위에 지방덩어리가 달라붙을 시간이 없게 된다. 소장도 영양분 흡수를 위해 부지런히 움직이게 되고 대장은 섬유질이 머금고 있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분절운동과 음식물 찌꺼기를 내려 보내기 위해 연동운동을 쉼 없이 하게 될 것이다. 그로인해 위, 소장, 대장의 근력이 좋아지게 되고 내장은 따뜻해지며 내장지방이 없는 속 짱이 되는 것이다.

      방귀 소리크기는 대장의 분절운동과 관계가 있는데 소리가 크면 그만큼 대장의 분절운동기능이 좋다는 뜻이다. 그러나 인스턴트식품만을 좋아하는 아이들의 방귀 소리와 냄새는 어떤가.소리는 작고 냄새는 이루 말할 수 없이 지독하다. 위장, 소장,대장이 힘차게 쥐어짜지 않더라도 스스로 녹아 흡수되는 칼로리만 높은 고열량 덩어리들이 몸 안으로 들어간다. 양계장 닭처럼 노란 기름덩어리들이 심장부터 폐, 위, 소장, 대장, 간, 각종장기의 주변마다 덕지덕지 달라붙어 배가 산달이 다가오는 임산부처럼 남산만 하다.

      성인들 뿐 아니라 어린 아이들도 조금만 걸어도 숨을 헐떡거린다. 땀이 비 오듯 쏟아진다. 그래도 예쁘기만 하다. 아이한테 다가올 건강에 대한 위협을 생각해 봐야 한다. 해결책은 섬유질이풍부한 음식을 먹이는 것이다. 신선한 야채와 현미밥을 먹일수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한 학회에서 무병장수 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하는 사람들을 분석을 해보니 무병장수 하는 사람들의 장 속에는 유익균이 많이살고 각종 질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장속에는 유해균이 많이살고 있는 것을 밝혀냈다. 섬유질은 유익균의 먹이가 된다.그러나 아이들이 즐겨먹는 인스턴트식품은 유해균의 먹이가 된다. 방귀소리가 작고 냄새가 독하다는 것은 장이 약하고 장속에유해균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의 장속에는 100여 종이넘는 세균이 100조마리 이상이나 서식하고 있다. 방귀 소리가크면서 냄새가 없다는 것은 장이 건강하고 장속에 유익균이 많다는 뜻이다.뿐만 아니라 육류고기나 기름에 튀긴 음식을 먹게 되면 소화를돕기 위해 많은 양의 쓸개즙이 분비 되고 소화된 지방은 모두몸속으로 흡수된다. 쓸개즙은 대장의 세균들에 의해 2차 분해가 되는데 쓸개즙의 주성분인 데옥시콜산이 쓰리(3)-메틸콜란트렌 이라는 결장암(대장암)을 일으키는 주범인 발암물질이 만들어 진다.

      또 지방을 과다섭취하면 뇌하수체에서 프로락틴이라고 하는 황체자극호르몬을 분비하도록 만드는데 이것은 황체호르몬 뿐만아니라 유즙분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프로락틴은 유방암을 발병시키는 원인물질로 결국 지방의 과다 섭취는 결장암과 유방암의 위험성을 키우게 되는 것이다.

      워싱턴 대학에서도 쥐 실험을 통해 섬유질을 섭취하였을 때와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 실험하였는데 섬유질을 섭취시킨 쥐그룹은 39%가 암에 걸린 반면 섬유질을 섭취하지 않은 쥐 그룹에서는 69%가 암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섬유질은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예방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식이섬유는 장내 발암 물질·중금속. 몸속의 독소 성분. 쓸개즙 · 콜레스테롤 등을 변과 함께 몸 밖으로 배설시킨다. 독소가적어 간이 편해지고 다시 쓸개즙을 만들기 위해 혈관 내벽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가져다 사용하게 되므로 콜레스테롤의 수치도
      상당부분 줄일 수 있어 혈관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사는 동안 아침(morning)을 즐겁게(樂)맞이하기 위해선 매일같이 적당량(25g~30g)의 섬유질을 섭취해야 한다.

      각 영양소의 역할 과 특징

       

      각 영양소의 역할 과 특징

      각 영양소의 역할과 특징 1. 단백질 단백질은 1g 당 4kcal의 열량을 가진 영양소로 분자량이 너무 커서 우리 인체로 흡수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우리 옛 조상님들은 콩을 발효시켜 펩타이드나 아

      rmfoehgodigo.tistory.com

      인체의 구성 비율과 필수 아미노산

       

      인체의 구성 비율과 필수 아미노산

      인체의 구성 비율과 필수 아미노산 1. 인체의 구성 비율 사람 인체 70%가량을 차지하는 것은 물이다. 인체에서 물을 제외하고 남는 30%를 차지하는 것을 5대 영양소라 하는데 단백질, 지방, 탄수화

      rmfoehgodigo.tistory.com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