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의 위로 문자 장례 위로문자 친구 조부상 모친상 조문객 장례식 예절 총정리카테고리 없음 2024. 6. 25. 17:06
목차
반응형조의 위로 문자 알려드릴게요. 며칠 전 아시는 분이 돌아가셔서 부고 문자를 받았어요. 친하든 아니든 고인이 되신 분의 명복을 빌고자 위로문자를 어떻게 보내야 할까 고민이 되더라고요. 살면서 겪을 수 있는 일이기에 더 신경이 쓰입니다.
조의 위로 문자
1. 조문객 장례식 예의
문상(問喪)은 장례식에 참석하여 고인의 유족을 위로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문상을 갈 때 지켜야 할 예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1. 장례식 예의 복장
- 남성: 검은색, 감색, 회색 양복을 입고, 흰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와이셔츠를 착용합니다. 화려한 색상의 의복이나 장식은 피합니다.
- 여성: 검은색 상의와 무채색 계통의 폭이 넓은 치마를 입고, 검은색 구두와 스타킹 또는 양말을 착용합니다. 맨발을 보이지 않도록 합니다.
1-2. 장례식 예의 절차
- 빈소 도착: 상주에게 인사한 후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분향합니다.
- 분향 후: 일어서서 두 번 절합니다.
- 상주에게 절: 물러나와 상주에게 절합니다.
- 조의금 전달: 조의금 봉투에는 자신의 소속기관이나 이름을 적습니다.
1-3. 장례식 예의 말과 행동
- 위로의 말: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등의 말을 사용합니다. 상주는 "고맙습니다",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답합니다.
- 주의사항: 고인의 이름을 반복해서 부르지 않으며,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지 않습니다.
1-4. 장례식 예의 기타
- 종교와 풍습: 해당 상가의 상례에 따릅니다. 절을 할 때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가게 합니다.
이러한 예의를 지키는 것이 문상 시 기본적인 예절입니다.
2. 일반적인 조의 위로 문자
- 진심 어린 마음으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삼가조의를 표하오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평상시 고인의 은덕을 되새기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삼가조의를 표하오며 고인의 각별한 정을 떠올리며 명복을 빕니다.
- 삼가조의를 표하오며 고인의 유덕이 후세에 이어져 빛나기를 빕니다.
- 뜻밖의 비보에 슬픈 마음 금할 길이 없어요. 머리 숙여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3. 상주 부모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친환으로 그토록 초민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 환 중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뵙지 못하고 이제야 찾아와 죄송해요.
- 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높으셔서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
-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찌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모친의 별세에 어떠한 말씀으로도 위로가 부족하고 상심이 크시겠지만, 애도의 뜻을 전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부친의 별세 소식으로 슬픔 심정을 금할 길이 없어요. 찾아뵙고 인사드리지 못해서 죄송하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부모상에만 '망극'이라 하는 말을 사용해요.
4. 상주 배우자
- 뭐라 위로할 말씀이 없어요.상사에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시겠습니까.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드려요.
- 남편이 죽은 슬픔을 빗대어 하늘이 무너지는 듯하다고 표현해요.
- 무엇이라 위로의 말씀이 없어요. 옛말에 고분지통이라 하였는데 얼마나 마음 아프십니까.
- 고분지통 :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의 고사에서 유래
5. 상주 형제
- 백씨(伯氏) 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
- 할반지통(割半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
- 할반지통(割半之痛) : 몸의 절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그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인데요.
- 백 씨(伯氏) : 남의 맏형의 존댓말인데요.
- 중씨(仲氏) : 남의 둘째 형의 높임말인데요.
- 계씨(季氏) :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인데요.
6. 자녀
-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 참척(慘慽)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 참경(慘景)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 참척(慘慽) :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에 앞서 죽은 일을 뜻해요.
- 참경(慘景) : 끔찍하고 참혹한 광경을 뜻하는 말인데요.
5. 문상가지 못했을 때
- 삼가조의를 표하오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삼가조의를 표하오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해서 죄송해요.
- 삼가조의를 표하오며 고인의 유덕이 후세에 이어져 빛나기를 빕니다. 먼 곳에서나마 큰 슬픔을 위로해드리며 직접 찾아가 위로의 말씀 드리지 못해서 죄송해요.
- 뜻밖의 비보에 한걸음에 달려가 위로의 말씀과 함께 고인 가시는 길을 지켜드려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 죄송해요. 먼 곳
- 에서나마 진심 어린 삼가조의를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제가 어떤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해도 그 슬픔이 모두 아물지 않으시겠지만 진심 어린 삼가 위로의 말씀 올립니다.
- 부득이한 사정으로 조문하지 못해 죄송하오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어떠한 말로도 위로가 되지 않을 것이라 하는 것 알고 있어요.
- 상심이 크지만 진심으로 애도를 표해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고인께서 별세했다는 소식을 뒤늦게 들어 찾아뵙고 조문하지 못하여 죄송한 마음인데요.
- 먼 곳에서나마 큰 슬픔을 함께 할게요 슬픔을 잘 이겨내시길 바라겠습니다.
- 크나큰 슬픔을 당하신 점 문자로 대신하게 되어 죄송해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직접 찾아가지 못해 죄송해요.삼가 조의를 표하며 먼 곳에서나마 큰 슬픔을 위로해 드려요.
- 어떠한 말로도 위로가 되지 못하겠지만 평상시 고인의 은덕을 잊지 않고 되새기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뜻밖의 비보에 슬플 마음을 금할 길이 없어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고인께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애도의 뜻을 전해요. 큰 슬픔 잘 이겨내시길 기도할게요.
- 고인께서 별세했다는 소식을 뒤늦게 들어 찾아뵙고 조문하지 못하여 죄송한 마음인데요.
- 먼 곳에서나마 큰 슬픔을 함께 할게요 슬픔을 잘 이겨내시길 바라겠습니다.
- 지금 어떠한 말로도 위로가 부족할 수 있겠지만 삼가 위로의 말씀을 드려요.
- 갑작스러운 부친의 별세를 진심으로 애도하고 부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고인의 유덕이 후세로 이어져 빛나기를 바라며, 삼가 조의를 진심으로 전해요.
- 뜻밖의 슬픈 소식에 슬픈 마음을 금할 길 없어요. 삼가 조의를 표해요.
- 큰 비보에 가족과 일가 친지분들에게 위로드리며, 삼가 조의를 표해요.
- 장례에 참석해 뵙고 슬픔을 같이 나누는 것이 맞지만 부득이하게 조문 못한 것 죄송해요. 진심으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빠른 걸음으로 직접 찾아뵙고 위로를 드리는 것이 맞으나 그렇지 못해 용서를 구해요. 삼가 조의를 표해요.
- 고인의 명복을 빌며 부디 좋은 곳으로 가시기를 기원할게요
- 장례에 참석하지 못해 죄송하고 멀리서나마 위로의 말씀 전하고, 삼가 조의를 표해요.
6. 조의금 액수
사회 초년생인 그럴 경우나 크게 고인과 친분이 가깝지 않은 그럴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5만 원을 넣습니다.
10만 원 미만은 홀수로 3만 원, 5만 원, 7만 원, 10만 원 이렇게 보통 조의금을 넣습니다.
고인과 특별한 사이였다고 하게되면 20만 원 이상 부의도 하고 10만 원 이상부터는 10만 원 단위로 액수를 맞춥니다.7. 조의 위로 문자 주의사항
조의 위로 문자 내용에 이모티콘이나 특수 문자 등의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상주 일가에서는 더할 나위 없이 심정이 말이 아닐 텐데요. 이런 상황에서 울고 있는 이모티콘이나 이런 문자는 가벼운 느낌이 전달될 수 있어요. 또한 줄임말이나 은어 등 또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인데요.
또 구구절절 읽기가 힘들 정도로 장문으로 보내기 보다는 간결하게 보내는 것이 좋고, 어려운 단어나 문구를 쓰라는 것은 아니긴 하지만 어느 정도의 예의와 격식을 갖추는 것이 좋을 것인데요. 그리고 장례에 참석하는 그럴 경우라면 조의 위로 문자는 굳이 보내지 않아도 될 것인데요.
스포츠 명언 영어 스포츠 선수 명언 긍정적 스포츠정신 좋은글 이미지
반응형